[생각] 2019. 7. 20 - 현명한 투자자
[생각]
1. 현명한 투자자
요즘 벤자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를 읽고 있다. 투자에 있어서 수학의 정석같은 책인지라(요즘에도 수학의 정석으로 공부합니까?) 주옥같은 내용들이 많다.
워렌버핏이 언젠가 자신의 85%는 벤자민 그레이엄으로 배운 것이라는게 이해가 된다. 정량적 방법으로 투자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분명히 좋아할거다.ㅎㅎ
벤자민 그레이엄은 기본적으로 일반인투자자라면 우량채권과 우량주식을 valuation 하여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낮은 종목에 분산투자 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선택지는 두 가지를 제시한다.
1)valuation이 힘들거나 귀찮으면 Index를 정액분할적립식으로 투자하자.
2)valuation을 할 의지가 있다면 양적+질적 분석을 하여 보수적으로 종목을 선택해야 한다.
현명한 투자자에서 논평을 맡은 제이슨 츠바이크는 타협해서
3)90%를 Index에 투자하고 나머지 10%로 종목을 선택하여 투자연습을 하는 방법도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
2. 정량적 투자
벤자민 그레이엄은 정량적 방법 중 하나로 아주 간단하게 PER 15, PBR 1.5를 예시로 들었는데, 이 둘을 곱하면 22.5가 나오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비싸게 사지 말라는 말이다. (왜냐? 미래는 모르니깐)
개인적으로는 여기에 부채비가 낮으면서 ROE가 높은 회사를 사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ROE는 곧 성장성을 의미하니까. 성장성이 없다면 할인되었다고 하더라도 살 이유가 없다.(전, 자사주 매입도 성장이라고 봅니다...)
즉, 정리하자면
1) PER이 낮은 주식(Historical 하게 낮으면 더 좋음)
2) 개인적으로 PBR은 크게 중요하게 보고 있지는 않다.
3) 부채비가 낮은 주식일수록 선호
4) ROE가 높은 회사 (성장성)
→ 단순히 ROE만 높으면 함정에 빠질수 있으니 부채:자본의 비중을 함께 보고 있다. 부채비가 높은 회사는 ROE를 높이기 쉽다. 왜냐면 그만큼 레버리지를 많이 낸거니까.
예를 들어
[수익10, 부채20, 자본80]인 회사의 ROE는 10/80=12.5%
[수익10, 부채50, 자본50]인 회사의 ROE는 10/50=20%
하지만 안정성은? 안전성은 당연히 부채가 낮은 쪽이 높다.
이 기준에 걸려 SBUX과 T를 팔아버렸지만 후회하지는 않는다. 워렌버핏도 말했지 않는가? 부채를 대량 발행한 회사는 송곳을 운전대에 올려놓고 운전하는 트럭과도 같다고.(흙..ㅜㅜ)
3. 채권수익률과 보통주
그러면 보통주에 얼마의 PER을 줄 수 있을까?
PER의 개념을 살펴보면 Price/Earning = 즉 1년동안 번 수익의 몇 배로 사업체를 살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역수로 따지면 기대 수익률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Earning/Price = 가격이 얼마인데 이 사업체가 1년에 얼마를 번다는 의미이니까.
벤자민 그레이엄은 이 역수가 우량회사채 yield보다는 높아야 투자가치가 있다고 보고 있다. 상식적인 말이기도 하다. 우량회사채 yield가 보통주 PER역수보다 높다치면 안전한 우량회사채를 사는게 맞다.
그럼 현재 우량 회사채의 yield가 얼마나 될까를 살펴보자. 현재 2.5-3.5% 정도 된다고 볼 수 있다. 대략 보통주 투자 가치를 4%로 하한선을 두고 생각해보면 PER은 25정도 되겠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20%의 안전마진을 더 두려고 하였으니 22.5 정도가 되겠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BAMLC0A2CAAEY
PER이 22.5 이하인 기업 중에서(가능하면 Historical 하게도 낮으면서), 부채비는 낮지만 ROE는 높고 Brand가치가 있는 주식이면 더더욱 좋겠다.
요즘 인터넷에서 대부분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기에 '효율적 시장가설'은 맞는 말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대중들의 의견이 치우쳐 왜곡되어 있거나 급격히 변할 때도 있으므로, 투기적 요소인 PER 변동에 주목할 때는 이러한 요소들을 잘 살펴보아야겠다. 예를 들면 SBUX, DIS가 그러했다.
4. 정성적 분석
현명한 투자자의 제이슨 츠바이크는 계량적 방법으로 종목을 걸러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방식보다는 실생활에서 나와 주변 사람들 그리고 타인들이 좋아하는 브랜드부터 시작하는게 일반인에게는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일반인투자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자주 쓰고 좋아하는 회사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법이다. 예를 들면 애플이나 디즈니처럼 말이다.
정성적 분석이라는게 사실 쉽지가 않다. CEO, Trend, 제품가치 등등 수량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것들을 분석하여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 같은 경우는 주변에 실생활에서 자주 쓰는 회사부터 확인하는 것이고, 이에 더해 해당 회사의 뉴스를 자주 읽는다. CEO가 한 말이라거나 유튜브로 그 회사의 Trend에 빠삭한 유튜버의 채널을 구독해서 자주 본다거나 하는 작업말이다.
예를 들어 애플, 디즈니, 구글, 알트리아 모두 위의 작업을 통과한 회사들이다.
[벤자민 그레이엄의 투자에 대한 생각]
투자라는 것은 현재의 구매력을 미래로 보내는 작업이다. 하지만 미래는 대부분 불확실하다.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은 신뢰할 수 없고, 경기침체도 심심찮게 되풀이 된다. 전쟁, 재난 등 돌발적 상황에도 속수무책이고... 즉, 추정을 기초로 한 투자는 헛수고라고 보면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투자자에게 최선의 해결책은 '방어'다. 과도한 주가를 지불하거나 자신의 판단을 과신하고자 하는 유혹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야 한다. 내재가치보다 낮은 주식을 사라!
1. 현명한 투자자
요즘 벤자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를 읽고 있다. 투자에 있어서 수학의 정석같은 책인지라(요즘에도 수학의 정석으로 공부합니까?) 주옥같은 내용들이 많다.
워렌버핏이 언젠가 자신의 85%는 벤자민 그레이엄으로 배운 것이라는게 이해가 된다. 정량적 방법으로 투자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분명히 좋아할거다.ㅎㅎ
벤자민 그레이엄은 기본적으로 일반인투자자라면 우량채권과 우량주식을 valuation 하여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낮은 종목에 분산투자 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선택지는 두 가지를 제시한다.
1)valuation이 힘들거나 귀찮으면 Index를 정액분할적립식으로 투자하자.
2)valuation을 할 의지가 있다면 양적+질적 분석을 하여 보수적으로 종목을 선택해야 한다.
현명한 투자자에서 논평을 맡은 제이슨 츠바이크는 타협해서
3)90%를 Index에 투자하고 나머지 10%로 종목을 선택하여 투자연습을 하는 방법도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정량적 방법 중 하나로 아주 간단하게 PER 15, PBR 1.5를 예시로 들었는데, 이 둘을 곱하면 22.5가 나오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비싸게 사지 말라는 말이다. (왜냐? 미래는 모르니깐)
개인적으로는 여기에 부채비가 낮으면서 ROE가 높은 회사를 사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ROE는 곧 성장성을 의미하니까. 성장성이 없다면 할인되었다고 하더라도 살 이유가 없다.(전, 자사주 매입도 성장이라고 봅니다...)
즉, 정리하자면
1) PER이 낮은 주식(Historical 하게 낮으면 더 좋음)
2) 개인적으로 PBR은 크게 중요하게 보고 있지는 않다.
3) 부채비가 낮은 주식일수록 선호
4) ROE가 높은 회사 (성장성)
→ 단순히 ROE만 높으면 함정에 빠질수 있으니 부채:자본의 비중을 함께 보고 있다. 부채비가 높은 회사는 ROE를 높이기 쉽다. 왜냐면 그만큼 레버리지를 많이 낸거니까.
예를 들어
[수익10, 부채20, 자본80]인 회사의 ROE는 10/80=12.5%
[수익10, 부채50, 자본50]인 회사의 ROE는 10/50=20%
하지만 안정성은? 안전성은 당연히 부채가 낮은 쪽이 높다.
이 기준에 걸려 SBUX과 T를 팔아버렸지만 후회하지는 않는다. 워렌버핏도 말했지 않는가? 부채를 대량 발행한 회사는 송곳을 운전대에 올려놓고 운전하는 트럭과도 같다고.(
그러면 보통주에 얼마의 PER을 줄 수 있을까?
PER의 개념을 살펴보면 Price/Earning = 즉 1년동안 번 수익의 몇 배로 사업체를 살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역수로 따지면 기대 수익률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Earning/Price = 가격이 얼마인데 이 사업체가 1년에 얼마를 번다는 의미이니까.
벤자민 그레이엄은 이 역수가 우량회사채 yield보다는 높아야 투자가치가 있다고 보고 있다. 상식적인 말이기도 하다. 우량회사채 yield가 보통주 PER역수보다 높다치면 안전한 우량회사채를 사는게 맞다.
그럼 현재 우량 회사채의 yield가 얼마나 될까를 살펴보자. 현재 2.5-3.5% 정도 된다고 볼 수 있다. 대략 보통주 투자 가치를 4%로 하한선을 두고 생각해보면 PER은 25정도 되겠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20%의 안전마진을 더 두려고 하였으니 22.5 정도가 되겠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BAMLC0A2CAAEY
PER이 22.5 이하인 기업 중에서(가능하면 Historical 하게도 낮으면서), 부채비는 낮지만 ROE는 높고 Brand가치가 있는 주식이면 더더욱 좋겠다.
요즘 인터넷에서 대부분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기에 '효율적 시장가설'은 맞는 말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대중들의 의견이 치우쳐 왜곡되어 있거나 급격히 변할 때도 있으므로, 투기적 요소인 PER 변동에 주목할 때는 이러한 요소들을 잘 살펴보아야겠다. 예를 들면 SBUX, DIS가 그러했다.
4. 정성적 분석
현명한 투자자의 제이슨 츠바이크는 계량적 방법으로 종목을 걸러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방식보다는 실생활에서 나와 주변 사람들 그리고 타인들이 좋아하는 브랜드부터 시작하는게 일반인에게는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일반인투자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자주 쓰고 좋아하는 회사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법이다. 예를 들면 애플이나 디즈니처럼 말이다.
정성적 분석이라는게 사실 쉽지가 않다. CEO, Trend, 제품가치 등등 수량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것들을 분석하여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 같은 경우는 주변에 실생활에서 자주 쓰는 회사부터 확인하는 것이고, 이에 더해 해당 회사의 뉴스를 자주 읽는다. CEO가 한 말이라거나 유튜브로 그 회사의 Trend에 빠삭한 유튜버의 채널을 구독해서 자주 본다거나 하는 작업말이다.
예를 들어 애플, 디즈니, 구글, 알트리아 모두 위의 작업을 통과한 회사들이다.
[벤자민 그레이엄의 투자에 대한 생각]
투자라는 것은 현재의 구매력을 미래로 보내는 작업이다. 하지만 미래는 대부분 불확실하다. 인플레이션과 이자율은 신뢰할 수 없고, 경기침체도 심심찮게 되풀이 된다. 전쟁, 재난 등 돌발적 상황에도 속수무책이고... 즉, 추정을 기초로 한 투자는 헛수고라고 보면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투자자에게 최선의 해결책은 '방어'다. 과도한 주가를 지불하거나 자신의 판단을 과신하고자 하는 유혹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야 한다. 내재가치보다 낮은 주식을 사라!
댓글
댓글 쓰기